[하루 5분 UX] 요약 | 6장 인포메이션 아키텍처
2022. 10. 1. 23:02ㆍ#학습/독서
38.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란?
- 단순하게 만들었다고 해서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니다
- 깔끔하고 읽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
- 보통 상위에서 하위 방향으로 작성하며,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작성하지 않는다
- 사이트맵은 기술적인 문서이므로 화려하게 꾸밀 필요는 없다.
- 아키텍쳐 종류
- 플랫 아키텍쳐
- 상단 메뉴가 늘어나게 됨
- 딥 아키텍쳐
- 클릭이 많아지게 됨
- 플랫 아키텍쳐
- 모든 것이 3번의 클릭 안에 되어야 한다는 것은 옛날 방식
- 사용자 스스로가 늘 자기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, 어디로 갈 수 있는지 알 수 있게 하라. 내비게이션이 쉽고 명료하다면 클릭 수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
39. 사용자 스토리
- 한 사용자가 웹사이트orApp 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한가지 경로를 묘사
- 사용자 스토리는 기능이 담긴 목록이며, 팀과 소통하기 위해 UX디자이너가 작성하는 것. 최종 솔루션에 큰 영향을 미침.
- 전체 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스토리가 매우 많이 필요
- 스토리의 목적은 flow를 보여주는 데에 있음. 최종 UI가 아닌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사용자 선택을 보여줌.
- ⇒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이어야 함
40.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의 유형
- IA를 스토리 안에 대입
- 페이지 구성은 사용자 스토리의 단계를 결정
-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작업할 IA의 유형을 결정해야함
- IA는 다음을 포함함
- 카테고리
- 카테고리를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?
- ⇒ 사용자가 기대하는 분류가 무엇일지
- 특정 카테고리를 클릭할 때 어울리는 내용이 무엇일지?
- ⇒ 카테고리가 복잡해지면 디자이너와 사용자는 각각의 카테고리 안에 무엇이 담겨야 할지 다르게 생각할 수 있음.
- 테스크
- 구조화하는 방법 중 하나는 사용자들의 목표에 따라 구성하는 것
- ⇒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이 확실하다면 적합한 유형
- 검색
- 웹사이트가 너무 복잡하거나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주를 이룬다면, 유튜브와 같은 검색 중심의 아키텍처가 더 적합
- 시간
- IA가 시간에 따라 변하도록 디자인
- ex) 받은편지함, 도착한 순서대로 나열
- 실시간 인기, 보관, 나중에, 최신과 같이 시간으로 분류하는 페이지를 만들 수 있음
- 사람들
- 소셜네트워크 (페이스북 등) 는 사람에 기반한 IA
- 모든 페이지가 누군가의 정보,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디자인
- 카테고리
41. 정적 페이지와 동적 페이지
- 정적 페이지
- 언제,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보임
- 하드코딩 되어 있음
- 동적 페이지
- 선택에 따라 반응
- ex) 결제 과정 중에 배송방법 선택에 따라 결제 금액이 변하는 것
-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노출
- 콘텐츠를 담는 템플릿 역할
- ex) 뉴스 기사
- 내용 vs 컨테이너
- 동적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내용이 아닌, 내용을 담는 컨테이너를 디자인
- 모든 형태와 헤드라인을 위한 여백, 모든 형태의 제품이미지를 위한 여백, 게시물을 위한 여백을 디자인하는 것
- 실패하지 않는 시나리오 만들기
- 헤드라인이 길어 레이아웃이 틀어질 경우, 레이아웃을 아예 변경하거나 헤드라인을 길게 작성하지 못하도록 디자인
- 사진 크기가 너무 작아 레이아웃이 완전히 틀어진다면 리사이징 하거나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업로드 크기를 제한
- 단, 불필요한 제한을 강요하는 것은 X
42. 플로우
- 사용자를 A에서 B로 이동하도록 하려면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달하는 방법을 디자인
- IA를 통해 수많은 사람이 길을 잃거나 막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야 함
- 클릭수나 페이지수를 세지 마라
-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때에 제공해서, 그들이 어느 쪽으로 이동해서(어떻게) 목표를 얻을 수 있는지 알려주는 것이 더 중요
- 막다른 길을 만들지 마라
- 사용자가 목적지를 향해 가는 곳에 다음 단계가 없다면 포기할 수 있음
-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, 사용자가 그곳에 가는 방법을 분명히 알 수 있게 해야함
43. 사용자는 뒤로 가지 않는다
- 사용자는 인내심이 강하지 않다
-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지 못하면 버튼을 몇번 더 눌러보다 그대로 떠난다
- 뒤로가기 버튼을 자주 누르는 건 좋지 않은 신호다
- 이제 뭘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의미
- 사용자 테스트 시 뒤로가기 버튼을 자주 누른다면 원하는 것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
- 루프를 만들어라
-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든다고 가정
- A페이지 : 어떤 사람이 지금까지 한 모든 작업 카테고리
- B페이지 : 한 카테고리 안에 있는 프로젝트 리스트
- C페이지 : 한 프로젝트에 관한 세부 내용
- 루프
- A페이지는 B페이지와 연결되어있다
- B페이지는 C페이지와 연결되어있다
- C페이지는 A페이지와 연결되어있다
- 플로우
- 사용자가 하나의 카테고리를 고르고
- 그 다음에 프로젝트를 고르고
- 그 다음에 세부내용을 모두 읽은 뒤
- 다시 A페이지의 카테고리로 돌아감
- 이 때, 뒤로가기 버튼은 사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됨
- 사용자가 언제나 앞으로 이동하며 클릭할 수 있다면 멈추거나 어디로갈지 결정하지 않아도 됨
-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든다고 가정
'#학습 > 독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하루 5분 UX] 요약 | 8장 시각 디자인 원칙 (0) | 2022.10.01 |
---|---|
[하루 5분 UX] 요약 | 7장 행동 디자인 (0) | 2022.10.01 |
[하루 5분 UX] 요약 | 5장 정신의 한계 (0) | 2022.10.01 |
[하루 5분 UX] 요약 | 4장 사용자 리서치 (0) | 2022.10.01 |
[하루 5분 UX] 요약 | 3장 행동의 기초 (0) | 2022.10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