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서비스 기획 스쿨] 요약 | 서비스 기획자는 뭐하는 사람?

2022. 10. 1. 23:11#학습/독서

서비스 기획자의 정의

  • 목표가 있으면 구현의 관점. "그걸 어떻게 할건데?" 를 생각하는 사람.
  • 기술은 없지만 기술을 가진 이들과 협업하여 구현에 초점을 맞추어 이끌어내는 사람.
  • 문제 없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사람
  • 프로젝트를 서비스 생애주기를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진행
    • 서비스 생애주기 : 도입-성장-성숙-쇠퇴

 

서비스 기획자의 역할

  • 비즈니스 목표나 문제를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해결책을 제안
  • 핵심 비즈니스를 IT기술이 가능한 형태로 UX를 고려해서 만드는 것
  • UX를 분석하여 얻은 비즈니스 이슈를 해결하고, 법적, 기술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, 적절한 방식으로 구현해내는 것

 

서비스기획자의 역량

  • 궁극적 목표 발견
    • 요청사항이 아닌 Needs를 해결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발견해내고, 적절한 문제 해결 방식을 떠올릴 수 있어야함
  • 문제 해결 능력
    •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을 아는 것이 서비스기획 역량
    • 문제 해결 방법이 무엇인가?
      • UI적인 것
      • 프로세스적인 것
      • 신기술 도입
  • 논리력
    • 자신의 기획을 하나의 흐름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어야함
  •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• 설득력
    • 공감능력
    • 리더십

 

서비스 기획의 3요소

  • 서비스기획자의 역량
    • 비즈니스
    • UX (데이터 기반 검증)
    • 기술(IT)

 

Old Vs. New

  • 1세대 웹기획자
    • Product가 Web에 국한됨
    • 프로젝트의 안정적인 관리, 산출물에 초점
  • 2세대 서비스기획자 or Product Manager
    • UX 방법론 등장
      • 고객의 생각과 경험 관리
      • 유연한 사고
    • 모바일 First
      • 인터렉션 예상
      • 프로토타이핑 강조
    • 사회 변화 속도
      • 애자일 방법론, 린 UX와 같은 실험적인 프로젝트 방법론 적용
      • 최소 개발 가능한 핵심 서비스 프로세스만 구분하여 오픈

 

전략기획자 Vs. 서비스기획자 차이

  • 차이
    • 전략기획은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.
    • 서비스기획은 사용자의 반응을 보며 계속해서 이 모델을 정교화 시키는 것. 피봇을 빠르기 실행하여 시스템 속에서 작동시키는 것.
  • 예시
    • 전략기획은 언제 어디서나 방향을 잃지 않도록 하늘에 북극성을 띄우는 사람. => 목표를 주는것
    • 서비스기획은 그 북극성을 목표로 어떻게 바다를 헤쳐나갈지 선원들과 상의해서 노를 저어가는 사람. => 사람들과 방법을 강구해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

 

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

  • 사용자 중심 설계 (User Centered Design) : UX 고려
    • 고객의 디바이스 환경과 콘텍스트를 고려
    • 자신의 이용 경험, 일부 고객의 불만을 기준으로 추측해서 가설을 세우지 않는다.
    • 다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, 사용자 조사를 통해 앱 사용 목적을 이해한 후 논리적인 방향성을 설정하고 기획을 진행한다.
  • 비즈니스 모델 고려
    • "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" or "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다" 비즈니스 방향성이 바뀌면 UI 도 바뀐다
    • 서비스 기획은
    • 비즈니스 모델
    •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
    • 비즈니스 전략과 방향에 대한 다각도적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 전략이 세워진 후에 진행
  • 개발 환경과 비용 고려
    • 기능 추가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안
    • 데이터 처리 정책, 비용 문제
  • 저작권 문제나 법률적 문제 고려
  • 운영 환경과 비용 고려
    • 운영 가능한 인력이 있는지
    • 운영 시 추가되는 비용이 P&L상 고려가 되었는지
    • 런칭 시 컨텐츠 소싱 되었는지
    • 런칭 일정, 운영 방안, 주기는 공유 되었는지
  • 서비스 전체의 선순환 고려
    • 데이터의 입력과 순환을 통해 서비스 전체의 기반을 잡는 것 => 서비스 선순환 구조
  • 눈에 보이는 단순한 "불편" 이 아닌, Pain Point 를 고려
  • 확장성에 대한 고려
    • 데이터 확장성
    • 서비스 확장성
  • 대부분의 케이스에 대한 고려

 

직장 선택 기준

  • 어떤 Product을 해보고 싶은가?
    • 초기 Product 구축
    • 운영 개선을 통한 Product 성장
  • 인하우스 기획자 & 에이전시 기획자
    • 에이전시 기획자
      • 프로젝트 관리 능력
      • 다양한 포트폴리오
    • 인하우스 기획자
      • 서비스를 키우면서 서비스 생애주기 경험
  • 연봉
  • 네임밸류
  • 조직문화
  • 시스템

 

이직 시 파악할 것

  • 비즈니스 모델, 서비스 모델
  • 사람들 (누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, 뭘 잘하는지, 어떤 성격인지 등)
  • 기존 시스템
    • 시스템의 한계와 구조
    • 정책문서
    • 스토리보드+화면
      • 서비스 목적
      • 기능별 프로세스
      • 케이스
      • 현재 서비스 운영 현황
    • 테스트
    • 직접 도식을 만들어 질문 찾아내기
      • 기획자 : 정책을 정한 이유
      • 개발자 : 서비스 로직 파악